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2

구글계정에 연결된 게임데이터 삭제방법 게임을 즐기다 보면 처음 게임계정을 만들때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계정을 이용해서 게임계정을 생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별도의 절차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게임계정을 생성할 수 있어서 대부분 이렇게 사용하실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게임을 즐기다가 게임데이터를 삭제하고 처음부터 다시 게임을 시작하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만약 구글 계정으로 만든 게임계정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다면, 먼저 간단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는데요. 해당 게임이 게임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 어디인가 하는 것입니다. 1. 게임이 구글에서 제공하는 게임데이터 저장용 클라우드 서비스에 게임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2. 구글의 게임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가 아닌 게임 개발사 자체의 서버에 게임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구글게임에서는 게임데이터 저.. 2018. 3. 14.
구글 에드센스 자동광고 사용해보기 구글 에드센스에서 에서 엄청난? 기능을 내놓았군요.무려 자동광고 입니다. 자동광고라고 말로만 들어서는 금방 무슨 의미인지 와닿지 않으니 잠깐 설명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에드센스 자동광고는 머신러닝을 이용해서 페이지에 코드하나만 삽입해 두면, 광고를 노출시킬 위치를 스스로 결정해서 자동으로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이라고 하는데요. 지금까지는 블로그나 페이지에 광고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기 위해서 글작성중에 코드조각을 삽입한다던가, 일일이 티스토리 스킨을 수정해서 에드센스 광고코드를 추가시키는 노가다가 필요했었는데, 코드하나만 삽입해두면 스스로 알아서 적당한 위치에 광고를 노출시켜 준다니, 이건 정말 획기적인 기능이라고 밖에 표현할 방법이 없습니다. 조금더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위에 설명된 대로 코드조각.. 2018. 3. 7.
드롭박스 VS 구글드라이브 동기화 속도 비교 이전글에서 구글드라이브 PC동기화를 버리고, 드롭박스를 다시쓰게 된 이유를 포스팅 하였습니다. 2018/01/31 - 구글드라이브를 버린 이유 - 드롭박스 vs 구글드라이브 PC 동기화 사용성 비교 오늘은 내친김에 구글드라이브와 드롭박스 두가지 서비스의 동기화 속도를 한번 비교해 봤습니다. 동기화할 파일은 위 폴더로 3,037개의 파일과 799개의 폴더를 포함하고 있고 총 용량은 23,20MB 입니다. 인터넷은 WIFI 연결 상태입니다. 동기화 폴더에 파일을 복사하는 순간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해서 상태표시줄에 동기화 아이콘에 완료 표시가 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 먼저 드롭박스의 PC동기화 결과입니다. 파일복사 시작부터 동기화 완료까지 총 3분24초 걸렸습니다. . 이번에는 구글드라이브 PC동기화.. 2018. 2. 1.
드롭박스 vs 구글드라이브 PC 동기화 사용성 비교 - 구글드라이브를 버린 이유 지난 몇년간 드롭박스의 PC동기화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구글 뱍업 및 동기화(이하 구글동기화)는 서브로 사용해왔습니다만, 이번에 용량문제도 있고 구글드라이브의 내컴퓨터 폴더의 컨셉이 마음에 들어서 100기가 유료사용중인 구글드라이브를 메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대규모의 파일 이전 작업을 했습니다. 개발소스도 좀 있어서 큰 용량의 파일보다는 파일의 갯수가 많은 환경인데, 구글동기화로 파일 이전을 완료하고 며칠간 사용을 해본 결과 도저히 필자와는 맞지 않아 결국 드롭박스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슈도 정리하면서, 드롭박스와 구글드라이브의 PC동기화와 관련하여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까해서 필자가 구글동기화를 버리고 다시 드롭박스로 돌아간 이유를 정리해 봅니다. 구글동기화에서 필자가 겪은 불편한 부분들을 아래.. 2018. 1. 31.
스크랩 무용론(2/2) - 스크랩 대신 노트하세요. 지난 글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스크랩을 하는 것이 왜 쓸모없는 일인지(대부분의 경우) 이야기 하였습니다. 필자가 스크랩 무용론을 이야기하는 주된 목적은 사실은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정보를 재생산 하라." 정보를 재생산함으로써 그 지식은 온전히 내것이 될 수 있다는 필자의 생각을 혹자는 나가도 너무 나간것 아니냐 라고 비난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어떠한 가치있는 정보를 접했을 때 그냥 훝고 지나가는 것과 그 내용을 나만의 방식으로 요약해서 정리하거나 혹은 최소한 간단한 몇줄의 문장으로라도 메모를 해보는 것은 아주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필자가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유도, 글을 씀으로 해서 머리속에만 있던 개념들이 체계화 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되는 신비한(?) 경험과 함께 그것이 온전히.. 2018. 1. 30.
스크랩 무용론(1/2) - 스크랩해서 어디에 쓰시려구요? 오랜만에 그동안 초안으로만 쌓여 있던 글을 하나 다듬어 올려봅니다. 그것은 바로 스크랩을 하는 행위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웹서핑을 하면서 관심이 있는 정보나 컨텐츠가 담겨있는 웹페이지를 발견하면 스크랩을 합니다. 왜 스크랩을 할까요? 스크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스크랩을 하는 5가지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스크랩을 하는 5가지 이유 1. 다음에 보려고 스크랩을 하는 경우 꼼꼼히 읽어보고 싶은데 지금 당장은 읽을 시간이 없거나, 보고는 싶은데 읽기가 귀찮을 경우 다음에 읽어볼 생각으로 스크랩을 하는 경우입니다. 실제로 가장 많은 경우일 듯 합니다. 스크랩을 하기위한 대표적인 도구들로 원노트나 에버노트정도가 있겠습니다만, 우리는 이러한 스크랩 도구들로 .. 2018. 1. 29.
반응형